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ilter()
- nth-child()
- CSS
- 쌍방향 연결리스트
- 가상 요소 선택자
- 일반 형제 선택자 결합
- Array.from()
- 단방향 연결리스트
- Link
- 고차함수
- indexOf
-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
- for..of
- Sort
- Em
- 백준알고리즘
- 범용 선택자
- 객체
- classList.contains(string)
- display : none
- disabled
- 인접 형제 선택자 결합
- innerhtml
- 양방향 연결리스트
- map()
- invalid assignment left-hand side
- 배열의 내림차순
- visibility : hidden
- 배열의 오름차순
- 등차수열의 항 찾기
- Today
- Total
목록Knowledge (7)
프론트엔드 센트럴파크 (☞゚ヮ゚)☞
parameter = 매개변수 함수 내부에 있는 인자 특정한 값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함수가 호출하면서 건네준 argument의 값이 변수( Variable )에 담기게 된다. function average(a, b) { return a+b; } parameter(매개변수)는 a,b가 된다.
argument = 전달값, 전달인자..... => 함수의 변수에 집어넣는 값 함수를 호출 할 때 값을 전달한다. number(1,2); argument(전달인자)는 1,2가 된다.
IDE 통합 개발 환경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는 코팅. 디버그,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하나로 묶어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것이 통합 개발 환경이다. 대표적인 IDE는 비주얼스튜디오(VSCODE) 와 이클립스(Eclipse)가 있다.
렌더링(Rendering) 화면에 표시할 웹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 렌더링 과정 1. HTML을 구조별로 분류하여 DOM객체를 생성 2. CSS를 구조별로 분류하여 스타일규칙 생성 3. DOM객체, 스타일규칙을 합쳐서 렌더트리(화면) 생성 4. 렌더트리를 기준으로 레이아웃배치, 스타일 작업 세부적인 렌더링 과정 1. Loader가 서버로부터 HTML을 불러옴 2. HTML을 Phasing(파싱/분류)하여 DOM트리를 만든다. 3. CSS파일과 스타일요소를 Phasing하여 CSSOM트리를 만든다. 4. DOM트리와 CSSOM을 결합하여 렌더링트리를 만든다. 5. 렌더링트리의 요소들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한다. 6. 계산된 크기와 위치에 맞게 화면에 출력한다. 참고 https://defineall.tistor..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Entity),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입니다. 특징 1.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에 저장된다. 2.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지게 된다. 3. 시간에 다라 불변인 특성으 갖는다.(시불변성) 4.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한다. 5.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 * 데이터 사전 시스템 전체에서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 중앙 저장소로, 이 정보에는 항목을 참조하는데 사용되는 식별자, 항목에 대한 엔티..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REST API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 RESTFUL API HTTP 통신에서 어떤 자원에 대한 CRUD 요청을 Resource와 Method로 표현하여 특정한 형태로 전달하는 방식 RESTFUL 구성요소 1. 자원(Resource) 서버는 Unique한 ID를 가지는 Resource를 가지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Resource에 요청을 보냅니다. 이러한 Resource는 URI에 해당한다. 2. 자원에 대한 행위(Method)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위한 방식으로 GET, POST, PUT, PATCH, DELETE가 있습니다. CRUD 연..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Interface) 2개 이상의 장치나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을 때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하는 연결장치나 경계면 또는 연결하는 경계에서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건, 규약 등을 말한다. =>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UI(User Interface) 사용자와 컴퓨터가 정보를 쉽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