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splay : none
- 양방향 연결리스트
- 인접 형제 선택자 결합
- Sort
- for..of
- 백준알고리즘
- Em
- 쌍방향 연결리스트
- 등차수열의 항 찾기
- 가상 요소 선택자
- 객체
- Array.from()
- nth-child()
- 고차함수
- filter()
- disabled
- map()
- 범용 선택자
- indexOf
- Link
- 단방향 연결리스트
-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
- 배열의 내림차순
- classList.contains(string)
- 배열의 오름차순
- 일반 형제 선택자 결합
- CSS
- innerhtml
- visibility : hidden
- invalid assignment left-hand side
- Today
- Total
목록HTML (38)
프론트엔드 센트럴파크 (☞゚ヮ゚)☞
abbreviation(약어)의 준말이다. 다른 요소와 달리 요소에서의 title 특성은 특정한 의미를 가지며, title 은 준말에 대한 설명 혹은 확장 형태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를 값으로 가져야 합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요소는 독립적인 콘텐츠를 표현합니다. 요소를 사용해 설명을 붙일 수 있습니다. 피규어, 설명, 콘텐츠는 하나의 단위로 참조됩니다. 태그는 보통 태그와 함께 쓰인다. 왜냐하면 독립적인 콘텐츠 = 이미지 태그의 내용 이기 때문에 이 없으면 굳이? 사용을 왜하나 보통 이미지 - 설명 글 - 글쓴이 이렇게 연관이 있는 것을 태그로 감싸주고 으로 설명한다. 처럼 들여쓰기가 되어진 상태로 보여진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요소는 미리 서식을 지정한 텍스트를 나타내며, HTML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 표현합니다. 텍스트는 보통 고정폭 글꼴을 사용해 렌더링하고, 요소 내 공백문자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고정폭 글꼴 예를들어 AAAA 의 폭과 IIII 의 폭이 다르다. 고정폭 글꼴은 IIII를 AAAA와 폭이 같게끔 만들어주는 것이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인용 블록 요소 HTML 요소는 안쪽의 텍스트가 긴 인용문임을 나타냅니다. 주로 들여쓰기를 한 것으로 그려집니다. - 안에는 여러개의 태그가 들어갈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인라인 인용문 요소 HTML 요소는 둘러싼 텍스트가 짧은 인라인 인용문이라는것을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는 앞과 뒤에 따옴표를 붙여 표현합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주의 p태그 안에 blockquote를 사용할 수 없다. why? p태그 안의 자식요소가 블록요소이면 p태그가 인식을 못하기 때문
블록(Block) 1. 한 층을 전부 차지 2. 가로길이를 지정하지 않으면 웹의 가로 크기만큼 늘어남 3. 블록 안에 블록이 들어갈 수 있다. 4. 대부분의 블록요소는 다른 인라인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인라인(Inline) 1. 줄의 어느 곳에서나 시작가능 2. 바로 이전 요소가 끝나는 지점부터 시작하며, 요소의 내용 만큼만 차지 3. 인라인 안에 인라인이 들어갈 수 있다. 4. 인라인 요소는 블록요소를 포함할 수 없다.
태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HTLM 입력 폼(form)을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요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 - - - - div안에 form태그를 쓰면 안되는건가 해서 div의 특징과 form의 특징을 알아봤는데, div의 특징에 대해 잘 몰랐던 것 같다. div는 단순히 섹션을 나누는 한 부분이고 그 안에 여러가지 태그를 넣어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섹션을 나눠서 표시하고 싶으면 div 안에 form태그를 넣을 수도 있구나! 참고 https://www.nextree.co.kr/p8428/

인강을 듣다가 div와 form의 차이를 정확하게 모르겠어서 정리하는 글 div와 span은 태그 영역을 설정 할 때 필요하다. div - 줄바꿈이 가능하다. - 텍스트를 표헌할 때 박스 단위로 구역을 정한다. - width, height 지정이 가능하다.(박스단위 구역이기 때문) * 아쿠아마린 컬러가 div 코랄컬러가 span span의 margin은 양 옆으로만 적용이된다. div의 margin은 4방향 모두 적용이 된다. 위 아래 겹치는 여백은 상쇄됩니다. => 여백의 크기가 2배가 되는 것이 아니고 겹치는 것